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터널 나온 '고체 ICBM' 호숫가서 '쾅'…北, 기습능력 과시했다

북기기 0 107 0 0

조선중앙TV와 노동신문 등 북한 매체는 “지난 13일 새로운 대륙간탄도미싸일(미사일) '화성포-18'형 시험발사가 단행됐다”고 14일 보도했다. 전날(13일) 군 당국의 분석대로 북한은 이번 발사를 시작으로 고체연료 ICBM 개발을 본격화할 태세다. 매체는 “대출력 고체연료 다계단발동기들의 성능과 단분리 기술, 각이한 기능성 조종체계들의 믿음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전략무기체계의 군사적 효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뒀다”고 설명했다.
 

1단과 2·3단 발사 각도 조절…소기 성과 강조


북한은 이번 시험발사의 세부 내용을 공개하며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는 점을 강조했다. 매체는 “1계단은 표준탄도비행방식으로, 2·3계단은 고각방식으로 설정하고 시간 지연 분리 시동 방식으로 미사일의 최대속도를 제한하면서 무기체계의 각 계통별 기술적 특성들을 확증하는 방법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1단은 함경남도 금야군 호도반도 앞 10㎞ 해상, 2단은 함경북도 어랑군 동쪽 335㎞ 해상에 안전하게 떨어졌다”고 전했다.

1단은 정상각도로 2단과 3단은 고각으로 발사하면서 추력도 조절해 의도적으로 고도와 비행거리를 줄인 것으로 보인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1단 분리 후 2단과 3단은 사거리를 1000km 정도로 유지하기 위해 다시 고각 궤적으로 비행하고 탄두는 거의 수직으로 탄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0003273291_002_20230414174501437.jpg?type=w647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3일 공화국전략무력의 전망적인 핵심주력수단으로, 중대한 전쟁억제력의 사명을 수행하게 될 새형의 대륙간탄도미싸일(미사일) '화성포-18' 형 시험발사가 단행되였다"고 14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군 당국은 이번 미사일이 1000㎞를 날아가면서 정점고도는 3000㎞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파악했다. 고도만 보면 액체연료 ICBM의 고각발사 때보다 절반 수준이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액체연료보다 추력 조절이 까다로운 고체연료에서 비행거리를 짧게 하려면 이 같은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며 “주변국 피해를 막으려는 의도를 보여주는 한편 시험이 계획한 대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과시하려는 듯하다”고 말했다.

실제 일본은 정상각도로 발사된 1단의 궤적을 토대로 홋카이도에 미사일이 떨어질 수 있다고 보고 대피 경보를 발령했다. 미사일이 정점에 올라갈 때까지 제대로 된 탄착 지점을 파악하는 데 애를 먹었다는 의미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