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SK하이닉스, 3년 만에 최악 실적… 4분기 감산 ‘극약 처방’

비공개 0 504 0 0

2분기 영업이익 53% 줄어 6300억… 반도체 가격 ‘곤두박질’ 주원인

SK하이닉스가 약 3년 만에 가장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일본의 수출 규제 확대 등 하반기에도 불확실성이 여전해 국내 반도체 산업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에 매출 6조4522억원, 영업이익 6376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 전 분기보다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 53% 감소했다. 11분기 만의 최저치로, 영업이익이 1조원을 밑으로 떨어진 것도 2016년 3분기 이래 처음이다. 

실적 부진은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의 가격경쟁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 D램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13% 늘었으나 가격 약세가 지속돼 평균판매가격은 24% 하락했다. 낸드플래시도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40% 증가했으나 가격경쟁, 단품 판매 증가 등으로 평균판매가격은 25% 떨어졌다. 

‘극약처방’으로 SK하이닉스는 오는 4분기부터 D램 캐파(CAPA·생산능력)를 줄이고 낸드플래시 웨이퍼 투입량을 15% 이상 줄이는 사실상의 감산 조치를 결정했다. 대신 이천 M10 공장의 D램 캐파 일부를 최근 성장 중인 CIS(CMOS 이미지 센서) 양산용으로 전환한다. SK하이닉스는 “서버용 D램 수요가 여전히 부진하고,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모바일 D램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일본의 수출 규제가 강화된 일부 품목은 가능한 범위에서 재고를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공정에 투입되는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네이버도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 났다. 네이버는 2분기 매출 1조6303억원, 영업이익 128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6%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절반 수준인 48.8% 감소한 것이다.

영업이익 감소는 광고·검색 등 주력 사업은 선전했지만 ‘라인페이’ 등 일본 시장에 대규모로 투자한 비용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라인은 일본 간편결제 시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5월 약 3300억원 규모의 송금 캠페인 행사를 진행했다.

네이버는 실적 부진에도 사업다각화와 투자를 지속할 방침이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는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네이버페이를 분사해 식당 검색, 예약, 페이로 결제까지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새롭게 열리는 디지털 금융시장에서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LG생활건강은 이번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또 경신했다. LG생활건강은 2분기 매출 1조8324억원, 영업이익 3015억원, 당기순이익 211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현대오일뱅크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정제 마진 하락 등 악재 속에서도 영업이익이 53.2% 증가했다. 현대오일뱅크의 2분기 매출은 5조3196억원, 영업이익은 1544억원이었다.

최예슬 문수정 김성훈 기자 smarty@kmib.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