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텐센트·알리바바 진격…750만명 홍콩에 인터넷은행 8개

비공개 0 406 0 0

아시아 금융허브의 디지털 실험
중국 거대 IT 업체 앞다퉈 참여
은행권엔 벌써부터 ‘메기 효과’
잔고 수수료도 18년 만에 사라져
“中 핀테크 글로벌 진출 시험대”

홍콩 센트럴에 위치한 은행가 모습. 뒤쪽은 중국은행(BOC) 건물. 한애란 기자

아시아 금융허브인 홍콩이 디지털 전환을 위한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3~5월 석 달 새 무려 8개의 인터넷전문은행을 무더기로 인가했다. 고작 750만 인구에 8개 인터넷은행이라니, 세상 어디에도 없던 디지털금융 실험이다. 텐센트·알리바바·샤오미 등 대륙의 IT(정보기술) 공룡들이 앞다퉈 뛰어들었다. 공항점거 시위가 평화적으로 시작됐던 8월 초, 그 현장을 다녀왔다. 

“홍콩은 은행 계좌 잔고가 1000달러(약 15만원) 이하이면 월 100달러(약 1만5000원)씩 계좌 유지 수수료를 내야 했거든요. 그런데 ‘버추얼뱅크(virtual bank)’ 8곳이 인가를 받자마자 HSBC를 비롯한 대형은행이 일제히 이 수수료를 없앴어요. 소비자 이익이 그만큼 커진 거죠.” 

홍콩 자산운용사에서 일하는 조나단 리는 출범을 앞둔 인터넷전문은행(버추얼뱅크)이 홍콩에서 관심을 끄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그는 “1987년생인 나는 아직 씨티은행 고객이지만 홍콩의 99년생은 처음부터 버추얼뱅크로 갈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홍콩금융관리국(HKMA)이 ‘버추얼뱅크’로 명명한 인터넷전문은행은 이르면 올 연말에 영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이미 홍콩의 금융시장은 술렁이고 있었다. 2001년 도입된 ‘최소 잔고 수수료’가 18년 만에 사라진 것이 홍콩 은행권에 몰아칠 디지털 혁신의 힘을 보여준다. 

“금융포용, 은행 문턱을 더 낮춰라” 
 

홍콩 HSBC 본사 앞에 있는 사자상. HSBC는 인터넷은행과 경쟁을 위해 최소 잔고 수수료를 폐지했다. 한애란 기자

“홍콩이 잘하는 게 서로 경쟁시키는 겁니다. HKMA은 ‘혁신을 위해 홍콩이 좀 더 경쟁적이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홍콩핀테크협회의 브라이언 W 탕 레그테크(RegTech)위원회 의장은 이렇게 설명했다. 

홍콩에 인가받은 은행은 150곳이 넘는다. 대로변 건물마다 은행 지점이 빽빽이 들어섰다. 그런데도 경쟁에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배경엔 은행 서비스의 양극화가 있다. 

금융 컨설팅업체 PWC의 아키리코 카타야마 디렉터는 “2년 전부터 HKMA 주요 이슈는 은행 접근이 어려운 소외계층을 위한 금융포용”이라며 “특히 가난한 사람들과 중소기업의 은행 문턱을 낮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금융은 금융선진국 홍콩의 취약점이다. 예컨대 홍콩에서는 중소기업이 법인명의 계좌를 열려면 최소 6주에서 최대 6년까지 시간이 걸린다. 더 많은 기업이 더 빨리 은행 계좌를 만들게 하는 것. 그 숙제를 해결할 열쇠가 바로 인터넷은행이다. 

HSBC 같은 대형은행은 부자를 위한 자산관리에 집중한다. 중국 위안화 가치 하락을 우려한 중국 부자들이 홍콩 은행으로 돈을 싸 들고 몰려들다 보니 소액의 개인 고객은 뒷전일 수밖에 없다. 홍콩의 살인적인 임대료도 기존 은행이 푼돈 영업을 외면하게 하는 이유다. 인터넷은행은 임대료가 아예 필요 없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게 HKMA의 판단이다. 

산업자본에 대한 지분 제한 없어 
 

인가받은 홍콩 8개 인터넷전문은행의 분야별 주요 주주.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번에 인가를 받은 홍콩 8개 인터넷은행의 최대주주의 출신 성분은 다양하다. 대형은행(SC, BOC), 보험회사(핑안), 홍콩기반 핀테크 유니콘 기업(위랩), 중국 초대형 정보기술(IT)기업(알리바바 등)이 골고루 포진해있다. 자본이 탄탄한 큰 기업이란 공통점이 있다. 1대 주주가 아닌 주요 주주사 중엔 전자상거래업체(JD디지털), 여행사(씨트립), 통신사(HKT)가 눈에 띈다. JD디지털은 ‘중국의 아마존’으로 불리는 징동닷컴이 대주주인 핀테크 기업, 씨트립은 3억 명 넘는 회원을 보유한 ‘중국판 익스피디아’다. 

인터넷은행 주주 구성에 있어 산업자본에 대한 지분 제한은 없다. 레이몬드 창 홍콩중문대 교수는 “홍콩 은행 시스템엔 주주 관련 어떤 지분 제한 규제도 없다”며 “홍콩 금융당국은 (지분과 관련해) 자유를 주되 금융시스템을 해치지 않도록 감독을 철저히 한다”고 말했다. 

인가받은 인터넷은행 8곳 중 3곳의 최대주주는 각각 텐센트·알리바바(앤트파이낸셜)·샤오미다. 중국 본토에서 각각 위뱅크·마이뱅크·XW뱅크라는 인터넷은행을 운영하며 엄청난 성공을 거둔 IT공룡이다. 13억 인구의 대륙을 주름잡던 대기업이 인구 750만의 홍콩 은행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것이다. 

싱가포르·대만도 인터넷은행 경쟁 가세 

홍콩 핀테크 전문매체 디그핀의 제임 디비아시오 창업자는 “홍콩에서는 서구 은행과 같은 시장에서 동등하게 경쟁해볼 수 있다”며 “중국의 핀테크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얼마나 통할 수 있을지를 시험해보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콩이란 테스트베드를 발판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겠다는 야심이다. 

홍콩 입장에서도 중국 IT 기술이 필요하다. 금융서비스는 홍콩이 앞서지만 IT 기술 면에서는 중국이 한 수 위이기 때문이다. 브라이언 W 탕 의장은 “상하이는 이미 캐시리스(현금이 없는) 사회인데 홍콩은 여전히 현금 기반”이라며 “홍콩 금융당국은 좀 더 디지털로 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홍콩의 공격적인 인터넷은행 전략은 다른 아시아 국가를 자극하고 있다. 홍콩이 인터넷은행을 무더기 인가하자 싱가포르는 5곳, 대만은 3곳의 인터넷은행을 인가하거나 인가를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아시아 지역 내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인 가운데, 한국은 오는 10월 제3 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앞두고 있다. 

홍콩=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