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스포츠뉴스
스포츠뉴스

'골프 칠 줄 안다' 대한민국 국민 9년 사이 2배 가까이 증가

보헤미안 0 109 0 0

[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골프를 칠 줄 아는 우리나라 국민의 비중이 9년 사이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34%가 ‘칠 줄 안다’고 답했다”고 12일 밝혔다.

골프를 칠 줄 아는 사람은 여성(26%)보다 남성(42%), 연령별로는 50대(52%)와 40대(41%), 자영업과 사무·관리직(40%대), 생활수준 상·중상층(54%)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단, 이는 평소 골프 실력이나 관련 시설 이용 빈도와 무관하며 응답자 스스로의 판단에 따른 결과다.

우리나라 성인 중 골프 가능자(‘칠 줄 안다’ 응답 기준)는 1992년 2%, 2004년 6%, 2013년 18%, 2018년 24%, 2022년 올해 34%가 됐다. 특히 최근 10년 사이 여성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남성 골프 가능자는 2013년 29%에서 2022년 42%로, 같은 기간 여성은 8%에서 26%로 늘었다.

성인 중 21%는 ‘지금은 골프를 칠 줄 모르지만 앞으로 배울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성·연령별로 보면 30대 남성(33%)과 20~40대 여성(30% 내외)에서 골프 입문 희망자가 많았다. 반면 ‘골프를 배울 의향이 없는’ 사람은 20대와 60대의 약 50%, 70대 이상의 68%를 차지했다.

현재 골프를 칠 줄 모르는 사람(662명) 기준으로만 보면 31%가 ‘앞으로 배울 의향 있다’고 답했다. 이는 2013년, 2018년(각각 29%)과 비슷한 수준이다. 1992년에는 그 비율이 20%였지만 2000년부터는 30%를 웃돌고 있다(2000년 38%, 2004년 37%, 2007년 40%).

아울러 우리나라 성인 중 20%가 최근 1년간 골프연습장을 이용했고, 14%는 실제 필드에 나간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시설 모두 50대 남성의 이용 경험률이 가장 높았다. 시설 이용 경험률을 골프 가능자(342명) 기준으로만 보면 골프연습장 58%, 실제 필드 42%였다. 이는 2013년,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1992년 한국인 중 72%가 골프를 ‘사치스러운 운동’이라고 생각했다. 이후 그 비율은 점차 줄어 2013년 48%, 2018년과 2022년 이번 조사에서는 30%대 중반까지 떨어졌다.

골프를 칠 줄 모르는 사람 중에서는 2013년까지 ‘사치스러운 운동’이란 시각이 우세했지만 2018년 역전했다. 골프 가능자 중에서는 오래전부터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연령별 인식도 2018년을 기점으로 달라졌다. 2013년에는 고연령일수록 ‘사치스러운 운동’이란 응답이 많았다(20대 36%; 50대 53%, 60대 이상 65%). 하지만 2018년부터는 7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30%대로 비슷해졌다.

참고로, 스키/스노보드도 골프처럼 1990년대 이후 보편화된 종목이다. 스키 가능자 비율은 1994년 6%에서 2013년(스노보드 포함) 36%로 늘었고, 같은 기간 스키가 사치스러운 운동이라는 인식은 50%에서 17%로 줄었다.
 


 

기사제공 이데일리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