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스포츠뉴스
스포츠뉴스

'매년 논란' 비디오판독, 뉴미디어 중계권 후폭풍 맞나

아이리스 0 359 0 0

스포츠조선DB.뉴미디어 중계권 후폭풍이 올시즌 비디오판독에게 영향을 미칠까.

지난해 KBO(한국야구위원회)는 비디오판독 강화를 위한 개선안을 꺼내 들었다. 기존 상암동에 위치했던 비디오판독 센터를 야구회관 내로 이전했으며, 영상 분석 오퍼레이터를 증원했다. 장비와 인력을 강화하면서 더 정확한 판독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 시즌 비디오판독 문제는 끊이지 않았다. 오독이 없지 않았다. 파울 타구가 홈런으로 둔갑하는 장면도 나왔다. KBO에서 자체 설치한 카메라 3대 만으로 완벽한 판정을 내리는 건 사실상 불가능했다. 중계 방송사의 도움이 절실했다. 그러나 방송사는 모든 중계 화면을 KBO 비디오판독 센터에 제공할 의무가 없다. 중계권에 대한 이해 관계도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판정이 내려진 뒤에서야 더 명확한 장면을 내보내기 일쑤였다. KBO가 '오독률 0%'를 외쳤지만, 자체 기술로는 역부족이었다.

게다가 KBO가 시즌 전 방송사의 동의 없이 전광판 리플레이를 시행하겠다고 밝혀 양측은 감정대립을 했다. 사전 협의된 내용은 아니었다. 결국 KBO가 공표한 것과 달리, 관중들은 시즌 초반 전광판의 리플레이 화면을 볼 수 없었다. 시즌 중 KBO는 방송사를 적극 설득했다. 문제는 일단락 됐지만 매번 '대승적인 차원'의 협조를 구할 수는 없는 법.

자구책이 필요하다. 그 일환으로 KBO는 비디오판독 시스템을 한층 더 강화한다. 올 시즌 비디오판독 전용카메라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그동안 각 구장에는 1루 방면 카메라 2대, 2루 방면 카메라 1대가 설치돼있었다. 3루와 홈플레이트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추가로 들어설 예정. 그래도 방송사의 기술을 따라가기는 어렵다. 더 명확한 판독을 위해선 슬로우 모션, 확대 화면 등 고차원적인 기술이 수반돼야 한다.

따라서 올해도 비디오판독은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KBO는 아직 방송사와 그 어떤 협의도 이루지 못했다. 게다가 KBO는 25일 KBO리그 유무선 중계권 사업자 선정 입찰 평가를 실시한 결과, 통신-포털 컨소시엄(네이버, 카카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 방송 4사 컨소시엄(KBSN스포츠, MBC스포츠+, SBS스포츠, SPOTV)이 고배를 마셨다. 감정이 좋을 리 없다. 적자인 프로야구 중계 방송사들은 불만이 많다. 적자 해소를 위해 뉴미디어 중계권을 원한 바 있다.

KBO는 개막 전까지 최대한 방송사와 비디오판독 문제를 협의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방송사 입장에선 비디오판독 시 중계 화면 제공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따질 것으로 보인다. 뉴미디어 중계권까지 잃은 상황에서 흔쾌히 협조할 지는 물음표다. 이해 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된 상태다. 비디오 판독에 문제가 발생하면 생각보다 큰 혼란이 생길 수 있다. 수년간 자리잡은 시스템이어서 승부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다. 여러 정황을 따질 필요가 없는 팬들만 불편한 장면을 자주 경험할 수 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2080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