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AZ 잔여백신 30∼40대 접종 재허용에 심각한 우려"

입력
수정2021.08.17. 오후 3:46
기사원문
계승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기자 =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 전문위원회(이하 의협 전문위원회)는 17일 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 연령을 잔여 백신에 한해 '30세 이상'으로 다시 내린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이달 13일 질병관리청 산하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이하 추진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연령에 대해 '50세 이상 접종'을 권고한다는 의견을 유지하면서도 잔여백신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서는 30∼40대도 맞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밝혔다.

의협 전문위원회는 "절대적 기준에서의 접종 권고 연령과 희망자에 한해서 접종 기회를 부여하는 연령의 차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전했다.

의협 전문위원회는 "추진단에서 이달 11일 발표한 '주간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 반응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50세 미만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은 다른 백신보다 예방효과 대비 이상사건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며 "희망자라고 하더라도 우선으로 고려하기에는 위험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의협 전문위원회는 국제 학술지 '란셋'(Lancet)을 인용하며 "영국, 미국, 스웨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55세 이하에서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 모두에서 전신성 부작용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으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서 접종률 대비 부작용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잠재적 위험이 더 높은 50세 미만 인구에 대한 백신 접종 필요성 논의가 아직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 전문위원회는 그러면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식견을 바탕으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의협과 정보를 소통하고 적절한 권고안을 마련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정부, 30세 이상 아스트라제네카 잔여 백신 접종 허용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지난 13일 휴대전화 카카오톡(왼쪽), 네이버 앱에 서울 지역 아스트라제네카(AZ) 잔여 백신이 표시되고 있다.
정부는 이날 30세 이상 희망자에 한해 AZ 잔여 백신 접종을 허용했다. 그동안 AZ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 발생 우려로 50세 이상만 맞도록 제한했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key@yna.co.kr

기자 프로필

안녕하세요, 연합뉴스 계승현 기자입니다. 정당팀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