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이태원클럽 1779명, '조용한 전파'가 두렵다

입력
수정2020.05.19. 오전 8:23
기사원문
지영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부천=뉴스1) 정진욱 기자 = 경기 부천시는 이태원 클럽을 다녀온 후 확진을 받은 베트남 국적 A씨(32·남)가 경기 부천 메리트나이트 클럽을 지난 9일 방문했다고 밝혔다. 18일 오후 경기 부천 메리트나이트 클럽의 모습.2020.5.18/뉴스1


신천지 사례를 우려했던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신 사례가 제한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사건 발생 후 14일이 지나 최장 잠복기를 넘어선 것도 추가 확산이 크지 않을 것이란 기대요소다. 하지만 지금까지 1700여명의 클럽 방문자와 연락이 닿지 않고 있어 조용한 전파 가능성은 남아있다.

18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감염 시점은 5월 초 황금연휴기간으로 이후 코로나19 최장 잠복기인 14일이 지나면서 일일 확진자는 10명대로 줄어들었다. 16일 19명, 17일 13명에 이어 이날 15명으로 3일 연속 10명대다. 지금까지 누적 이태원 클럽 관련 확진자는 170명이다. 때문에 이태원 클럽의 집단감염이 우려했던 수준까지 확산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천=뉴스1) 정진욱 기자 = 경기 부천시는 이태원 클럽을 다녀온 후 확진을 받은 베트남 국적 A씨(32·남)가 경기 부천 메리트나이트 클럽을 지난 9일 방문했다고 밝혔다. 18일 오후 경기 부천 메리트나이트 클럽의 모습. 2020.5.18/뉴스1




이태원발 확진자 줄고 있지만…부천 메리트나이트 등 우려지역 발생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심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관악구 별별코인노래방과 홍대 한신포차, 도봉구 가왕노래방 등 유흥 노래시설 뿐 아니라 인천 학원강사 사례 등 지역사회 내에서의 감염이 끊이지 않고 있어서다.

이날에는 이태원 클럽을 다녀온 외국인이 10일 오전 경기도 부천시 메리트나이트를 방문한 사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17일 확진판정을 받았은 이 외국인은 14일경부터 증상이 나타났다고 증언하고 있지만 방역당국은 그보다 앞선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부천 나이트클럽 방문자까지 추적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박민석 기자 = 이태원 클럽 관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주춤한 가운데 17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거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0.05.17. mspark@newsis.com


클럽발 오리무중 환자 1779명…조용한 전파 가능성 여전


문제는 아직까지 집단감염이 발생한 이태원 클럽의 방문자 추적도 마무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연휴기간 이태원 클럽 방문을 이유로 신원파악 의뢰가 들어온 5041명 중 찾아낸 인원은 3262명이다. 아직까지 1779명의 신원을 추적하고 있다. 클럽 방문자 3명중 1명 이상이 아직도 오리무중이라는 것이다. 경찰은 다른 이름을 사용했다든지 연락처를 허위로 작성해 추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클럽 감염자 상당수가 20대 등 젊은층이 많아 드러나지 않은 감염자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사례를 보면 젊은 환자는 상대적으로 증상 발현이 약하거나 무증상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방역당국도 클럽발 조용한 감염 가능성을 여전히 우려하고 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방역당국이 모두 파악하지 못한 조용한 전파자가 지역사회에 존재할 가능성도 여전히 있다”고 말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클럽 관련) 무증상 감염률은 30%가 조금 넘는다"며 "노출력이 확실한 경우 접촉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무증상 감염자에 의한 추가 전파를 줄이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지영호 기자 tellme@mt.co.kr

▶줄리아 투자노트
▶조 변호사의 가정상담소 ▶머니투데이 구독하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산업2부 기자입니다. 식품·음료·주류산업을 비롯해 생활가전, 가구·인테리어, 시멘트, 레미콘, 제지 등 중견·중소기업 전반을 담당합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